현대차그룹이 전기차, 수소전기차, 하이브리드카 등 친환경차에 탑재되는 고전압 배터리 명칭을 '리튬이온 배터리'로 일원화한다.
8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현대차, 기아, 제네시스는 이날 각각 자사 홈페이지 고객 안내문을 통해 그동안 가격표, 카달로그 등에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 또는 '리튬이온 배터리'로 혼재해 사용하던 것에 사과하고 앞으로는 "친환경차 배터리 명칭을 '리튬이온 배터리'로 통일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기아 일부 고객들은 니로EV의 배터리 명칭이 카달로그에는 '리튬이온 배터리'로, 가격표에는 '리튬이온 폴리모 배터리'로 각각 다르게 표기돼 있다며 의문을 제기한 바 있다.
전통적으로 배터리 셀 내부 전해질에 폴리머가 첨가된 경우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로, 액상 전해질인 경우 '리튬이온 배터리'로 구분해왔다.
이에 대해 현대차그룹은 고객 안내문을 통해 "친환경차에 요구되는 성능 및 내구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모든 고전압 배터리에 액상 전해질이 사용되고 있으며 전해질 소재로 폴리머가 첨가된 경우는 없다"며 "따라서 과거 문헌적 의미의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는 친환경차 관점에서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 배터리"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럼에도 배터리 및 자동차 업계 등에서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 용어를 사용해왔던 것은 전해질 외에 음극 및 양극, 분리막 등에 폴리머 성분이 함유된 배터리도 넓은 의미에서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로 표현해왔기 때문"이라며 "그동안 친환경차 배터리 명칭을 혼용해 사용해왔지만 앞으로는 '리튬이온 배터리'로 일원화해 고객 혼선을 방지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