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일반뉴스

국내 자동차업계, 해외생산이 국내생산 첫 추월

지난해 국내 업체의 자동차 해외 생산량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처음으로 국내생산을 앞질렀다.


29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작년 국내 완성차 5개사의 연간 국내 자동차 생산은 총 422만8,509대로 전년(455만5,957대)보다 7.2% 감소했다.

이는 2010년(427만1,741대) 이후 6년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반면 작년 국내 업체의 해외생산은 465만2,787대로 전년(441만1,617대)보다 5.5% 증가했다.


국내 업체의 연간 해외 생산량이 국내생산을 추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자동차 국내생산 대수는 매년 450만대선에 머물러 있었던 반면, 해외생산은 363만대에서 410만대, 441만대, 441만대로 매년 증가하면서 지난해 해외생산이 국내생산을 앞질렀다.


지난해 자동차 국내생산이 감소한 것은 신흥시장 경기침체 여파로 인한 수출 부진, 일부 업체의 장기간 파업에 따른 생산 차질이 겹쳤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작년 자동차 수출은 글로벌 자동차 수요 둔화, 신흥시장 경기침체 등으로 전년보다 11.8%가 감소했다.

또 현대기아차 등 자동차 업계의 파업이 장기화하면서 조업 차질에 따른 국내 생산량 감소가 불가피했다.

<정몽구 현대차회장 현대차체코공장 방문>


반면 해외생산의 경우 현지 경기침체로 러시아, 브라질에서의 생산이 감소하긴 했으나, 중국·멕시코 등에서의 현대·기아차 신공장 가동과 유럽지역 수요 증가 등으로 전반적으로 생산량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앞으로도 해외생산이 국내생산보다 많은 추세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국내생산은 2011년(465만7,094대)을 정점으로 계속 하락 곡선을 그리는 반면 해외 생산은 점점 더 늘어날 일만 있기 때문이다.


당장 현대차는 지난해 중국 4공장 창저우 공장(30만대 생산 규모) 가동을 시작한 데 이어 올해는 중국 5공장 충칭 공장(30만대 규모)을 새로 지어 가동할 예정이다.


<연도별 국내 차업계 국내·해외 생산대수>

연도국내생산해외생산
20093,512,9261,901,721
20104,271,7412,604,762
20114,657,0943,140,683
20124,561,7663,635,467
20134,521,4294,108,055
20144,524,9324,414,094
20154,555,9574,411,617
20164,228,5094,652,787
(※국내생산은 국내 완성차 5개사와 타타대우, 대우버스 등 7개사 합계)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이달의 신차 구매혜택

더보기


레이싱 모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