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일반뉴스

한국 자동차생산량 인도에 밀려 '글로벌 빅 5' 이탈

한국이 올해 누적 자동차 생산량에서 인도에 뒤져 6위로 한 계단 내려 앉았다.

이런 추세가 연말까지 이어지면 한국은 연간 자동차 생산 대수 순위에서 12년 만에 '글로벌 빅5'에서 밀려나게 된다.


25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 등에 따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한국의 누적 자동차 생산량은 255만1,937대다. 이는 인도의 같은 기간 생산량 257만5,311대보다 2만3,374대 적은 것이다. 한국의 자동차 생산량이 인도에 뒤진 것은 사상 처음이다.


한국은 2000년대 초반까지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에 이어 자동차 생산국 순위 5위를 유지하다 2002년 급성장한 중국에 밀려 6위로 처졌다.


그러다 성능과 품질 향상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 제고로 수출이 크게 증가한 데 힘입어 2005년 프랑스를 제치고 5위권에 다시 진입했고, 이후 2015년까지 11년 연속'글로벌 빅5' 자리를 지켰다.

  

한국은 지난해 국내에서 455만5,957대의 자동차를 생산했다. 인도의 연간 생산 대수 412만5,744대보다 43만대 이상 많았다.

한국은 올해 상반기까지도 근소하게나마 인도를 앞서며 5위 자리를 유지했다.


교역환경 악화와 주력 수출시장 침체, 경쟁심화 등으로 상반기 수출이 작년보다 13.3% 급감했지만, 개별소비세 인하에 힘입어 내수가 전년 대비 11.0% 증가한 덕분에 자동차 생산량은 지난해와 비교해 5.4% 감소에 그친 219만5,843대를 기록했다.


이같은 수치는 인도의 상반기 자동차 생산량 218만6,655대보다 9,188대 많은 것이었다.

하지만 수출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개소세 인하 조치가 종료되고 정부가 하반기 경기부양을 위해 내놓은 노후 경유차 폐차 지원제마저 국회의 법 개정 지연으로 시행되지 못한 탓에 7월부터 내수마저 급격히 얼어붙어 인도에 추월을 허용했다.


여기에 현대차 노조 등의 파업이 맞물리면서 8월 국내 자동차 생산량은 21만7,097대로 급감한 반면 인도는 38만7,704대를 생산함에 따라 8월 말 현재 인도와의 생산량 격차는 18만9,948대로 벌어졌다.


인도 내 자동차 수요는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반면 한국은 내수와 수출이 모두 부진의 늪에 빠져 있는 데다 노조 파업도 이어지고 있어 올해 한국이 인도의 생산량을 다시 따라잡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게다가 자동차 생산량 순위에서 7위에 올라 있는 멕시코도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생산시설 유치에 적극 나서면서 매년 자국 내 생산량을 늘리고 있어 머지않아 한국을 추월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올해 1∼7월 국가별 자동차 누적 생산 1위는 중국(1천279만1,461대)이며, 2∼4위는 미국(708만3,661대), 일본(530만1,366대), 독일(362만8,86대)이다.


업계 관계자는 "자동차산업은 연관산업이 넓고 고용, 수출, 부가가치 창출 등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큰 산업"이라며 "생산이 줄어들 경우 고용 등의 측면에서 국가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는 만큼 생산이 유지·확대될 수 있는 방안이 고민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표> 올해 1∼7월 국가별 자동산 생산량

순위국가생산 대수
1위중국12,791,461
2위미국7,083,661
3위일본5,301,366
4위독일3,628,086
5위인도2,575,311
6위한국2,551,937
7위멕시코2,030,856

<출처: 한국자동차산업협회>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이달의 신차 구매혜택

더보기


레이싱 모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