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수입차는 국내 판매가 계속 늘어나는 등 내년 국내 완성차와 수입차 업계의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분석됐다.
박홍재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 소장은 29일 양재동 현대자동차그룹 사옥에서 열린 '2016년 자동차시장 전망' 세미나에서 내년 국내 자동차 판매가 올해보다 3.1% 줄어든 176만대 판매에 그칠 것으로 봤다.
박 소장은 "개소세 인하 종료 후유증과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신차 출시 감소, 볼륨급 신차 연말 출시로 대기 수요 형성 등이 악재로 작용해 내년 차 판매가 올해보다 좋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에서 자동차는 수입차를 포함해 올해 11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9.7% 증가한 164만대가 팔렸다. 연간으로는 전년 대비 9.2% 증가한 182만대 판매가 예상된다. 신차 효과 및 개별소비세 인하가 성장을 이끌었다.
이에 비해 수입차는 내년에 올해 대비 7.5% 증가한 26만1천대를 팔아 7년 연속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세계 자동차 시장은 올해보다 2.9% 증가한 8천850만대를 판매할 것으로 기대됐다.
내년 세계 자동차 시장은 친환경차가 신차 출시 영향으로 올해보다 17.2% 증가한 221만대가 팔릴 전망이다. SUV는 소형 중심으로 비중이 커지고 승용차는 전반적으로 부진할 것으로 우려됐다.
미국 시장은 소비심리 호조에도 대기 수요 해소와 금리 인상으로 증가세가 둔화해 내년에 1.6% 증가한 1천775만대가 판매될 것으로 전망됐다. 유럽은 더딘 경기 회복 및 테러 확산 등 지정학적 리크스로 회복세가 약화하며 내년에 3.1% 늘어난 1천628만대 판매가 예상됐다.
중국과 인도는 내년에 올해보다 각각 7.0%와 6.3% 증가한 2천193만대와 292만대 판매가 전망됐다. 그러나 브라질과 러시아는 내년에 각각 9.0%와 4.4%가 각각 줄어든 223만대와 152만대 판매에 그칠 것으로 봤다.
내년에 미국과 유럽의 미약한 회복세로 세계 연간 성장률은 3.2%로 전망됐고 올해는 3.0%로 추정됐다.
내년 원·달러 환율은 미국 금리 인상 지속으로 연평균 1천180원으로 상승하나 달러 외 주요 통화 대비 원화 강세는 지속할 것으로 봤다. 내년 국제유가는 선진국의 수요 회복에도 이란 생산 확대 등으로 저유가가 지속해 두바이유가 배럴당 52달러로 예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