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보자동차는 자사의 ‘스포츠 세단 S60’과 ‘스칸디나비안 럭셔리 SUV XC60’이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IIHS)가 실시한 ‘전방 추돌 방지 시스템 테스트’에서 최상 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추돌 경고 및 오토 브레이크 기능의 실효성을 측정하기 위해 IIHS에서 새롭게 실시한 이번 테스트는, 기존의 충돌 테스트와는 달리 차량이 전방 차량과의 추돌 위험을 얼마나 잘 감지하고 운전자에게 경고하며, 나아가 오토 브레이크가 제대로 작동 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도입된 것 이다.
테스트는 전방 추돌 경고 및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을 탑재한 2013-2014년형 럭셔리 중형 세단과 SUV 총 74대 차량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정지해 있는 차량 모형을 전방에 위치시키고 20km/h와 40km/h의 두 가지 설정 속도로 테스트를 진행, 평가 등급을 ‘최상(Superior)’, ‘우수(Advanced)’, ‘보통(Basic)’으로 구분했다.
최상 등급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두 번의 테스트에서 모두 추돌을 피하거나 효과적인 감속이 이루어져야 하고, 우수 등급을 받기 위해서는 두 번의 테스트 중 한번, 최소8km/h의 속도에서 추돌을 피하거나 감속에 성공하면 된다.
▶평가대상74대중 7대만이 '최상' 등급 획득
그 결과, 볼보자동차의 S60과 XC60이 ‘최상’ 등급을 획득하며 다시 한번 탁월한 안전성을 입증 받았다. 총 74대의 참가 차량 중 최상 등급을 받은 차량은 볼보 S60과 XC60, 메르세데스-벤츠 C-Class 포함 총 7대뿐이었다.
또한, 볼보자동차는 참가 브랜드 중 유일하게 전 차종에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을 기본으로 탑재한 프리미엄 브랜드이다. 볼보자동차의 전 차종에는 세계 최초로 개발한 저속 추돌 방지 시스템 ‘시티 세이프티’가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다.
시티 세이프티는 도심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추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시속 50km 이하 주행 중 앞 차와의 추돌 위험이 있는데도 운전자가 반응하지 못하면 차량이 스스로 멈춘다.
앞 차와의 속도차이가 15km/h 이하면 추돌 없이 멈추고, 그 이상일 경우 추돌은 발생하나 추돌 전 속도를 낮춰 피해를 최소화한다. (시티 세이프티는 날씨, 도로 상태 및 운전조건에 따라 작동이 제한적일 수 있다.)
볼보자동차는 시티 세이프티 외에도 보행자와 기타 사물을 감지하는 다양한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을 양산 모델에 적용하고 있다.
‘보행자 충돌 방지 시스템’과 올해 세계 최초로 선보인 ‘사이클리스트(자전거 이용자) 감지 시스템’ 이 그 예이다. 움직이는 차량 및 보행자 등 실제 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추돌 상황에 대비하여 개발된 시스템이기 때문에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보호의 효과는 더욱 크다.
▶실제 사고 및 보험청구율 20%이상 감소 효과
볼보자동차의 뛰어난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은 최근 여러 기관의 연구 결과를 통해 그 성과를 입증 받고 있다. 2012년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는 시티 세이프티로 인해 충돌 사고가 22% 감소했다고 발표한바 있으며, 같은 해 스웨덴의 보험회사인 Volvia의 연구에서도 시티 세이프티를 탑재한 차량이 오토 브레이크 시스템을 탑재하지 않은 차량에 비해 전방 추돌 사고 가능성이 23%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국 고속도로 손실정보기관(HLDI)의 보고서에 따르면, 시티 세이프티 시스템이 추돌 사고 관련 보험금 지급 청구율을 20%나 낮출 수 있으며, 스웨덴의 보험사 If의 데이터에서도 전방 추돌 사고의 보험금 지급 청구율을 23% 감소시키는 등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볼보XC60과 관련된 IIHS의 보험금 청구 데이터 분석에서도, 시티 세이프티 탑재로 인해 신체 손상으로 이한 보험 청구율은 33%, 재산상 손해와 관련된 보험금 청구율은 15%까지 낮춰지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