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일반뉴스

관세청, 2012년 승용차 수출입 동향

관세청은 2012년 승용차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 

☞수출은 전년대비 2.7% 증가한 반면 수입은 26.8% 증가, 무역수지는 0.3% 증가에 그쳐 전년도 수준을 유지했다.

- 수출 : 410억달러(307만대) 수출, 전년대비 2.7% 증가
- 수입 : 45억달러(15만대) 수입, 전년대비 26.8% 증가
- 수지 : 365억달러을 기록하여 전년대비 0.3% 증가 

☞수입차의 평균 수입단가는 전년대비 하락한 반면, 국산차 평균 수출단가는 상승하여 수입차와의 가격차는 더욱 완화됨

- 수출대비 수입차 평균가격 수준 : ’10년 251% → ’11년 243% → ’12년 227%
- 대당 평균 수출단가($) : ’10년 11,508→ ’11년 13,037 → ’12년 13,364
- 대당 평균 수입단가($) : ’10년 28,941→ ’11년 31,675→ ’12년 30,337
- 올해 수출단가는 대당 $13,364로 지난해 $13,037보다 2.5% 증가
- 올해 수출단가 대비 수입단가 수준은 227%로 지난해 수준보다 16%p 하락

☞최대 수출대상국은 미국과 러시아로 중대형이 대부분, 수입 중·대형급은 모두 독일産이며, 프랑스産 경차·소형차 수입 급증

- 수출 : 경차는 영국, 소형은 사우디·터키, 중대형은 미국·러시아로 수출
- 수입 : 프랑스産 경차·소형차 급증세, 중대형은 모두 독일産이 1위

▶용량별 수출입 동향

[수 출]

전년대비 수출증가폭이 가장 큰 것은 1,500cc이하급 경유 차량으로 최근 3년간 꾸준히 40%대 성장을 유지

☞경차 (1,000cc이하)수출 전년대비 17.7% 증가, 작년 9.5% 증가율에 이어 상승세

소형 1,500cc이하 경유차 수출실적은 최근 3년간 꾸준히 40%대 성장률 기록. 올해 수출도 3억8,400만 달러를 달성하여 전년대비 41.4% 증가

☞중형급은 전년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대형 승용차 수출 감소세

- 1,500-3,000cc 휘발유 승용차 수출실적은 전년대비 4.5% 소폭 증가 (25,935백만불→27,109백만불)하였고, 전체 승용차 수출액 內 비중은 전년도 64.9%에서 66.1%로 1.2%p 증가

- 2,500cc 초과 경유차량은 전년대비 45.7% 대폭 감소

[수 입]

☞전년대비 경차수입은 감소, 중·소형급은 증가, 대형은 감소세로 전환

경차 (1,000cc이하)수입 전년대비 27.3% 감소, 지난해 120%의 대폭 증가실적과 대조를 이룸

- ’11년 526만불 → ’12년 367만불 (27.3%↓)

☞1,500cc 이하 경유차의 수입은 전년대비 5.1배 급증, 1,000-1,500cc 휘발유 차량도 22.2% 증가

1,500-2,500cc급과 2,500cc초과용량 수입은 대폭 증가, 3,000cc초과 대용량은 감소세로 전환

- 1,500-2,500cc와 2,500cc초과용량의 경유차 수입은 전년대비 각각 87%, 79%씩 큰 폭 증가
- 반면, 3,000cc초과급 용량의 휘발유차 수입은 전년대비 8.7% 줄어들면서 감소세로 전환

▶용량별 가격 동향

[수출단가]

☞경차와 소형 경유차를 제외하고 모든 용량의 수출단가 상승

경차 (1,000cc이하) 대당 수출단가는 전년도 $5,961에서 $5,807로 약 2.6% 감소

소형차 1,000-1,500cc 휘발유차 대당수출단가는 전년대비 7.7% 상승, 1,500cc 경유차의 수출단가는 16.8% 하락

☞주력 수출품목인 1,500-3,000cc 단가 상승, 2,500cc급 상승률이 가장 높아

- 수출주력품목인 1,500-3,000cc 승용차 수출은 전년대비 2.8% 상승한 $13,611을 기록하여 전체 수출실적을 견인
- 2,500cc초과 경유차의 대당 수출단가는 전년도 $22,923에서 올해 $26,227로 14.4% 상승
- 3,000cc 초과 휘발유차도 전년대비 7.6% 올라 $25,500 기록

[수입단가]

☞수입 승용차 가격 전반적 하락세, 소형 경유차는 급상승

소형 1,000-1,500cc 휘발유차는 전년대비 17.6% 감소하였고, 1,500cc 경유차의 수입단가도 31.4% 대폭 감소하였음

- 1,000-1,500cc 휘발유 : ’11년 $21,487→’12년 $17,710
- 1,500cc 경유 : ’11년 $24,155 →’12년 $16,578

☞중·대형급은 전반적으로 소폭 하락세, 2,500cc급 경유차만 소폭 상승

- 중형급인 1,500-2,500cc경유차와 1,500-3,000cc휘발유차의 대당평균수입단가는 전년대비 각각 2.1%, 6.0% 하락
- 2,500cc초과 차량의 단가는 $44,271로 전년대비 2.0% 상승, 3,000cc초과용량은 전년도 수준인 $44,295를 기록

▶교역 대상국별 동향

[수출 대상국]

☞유럽은 경·소형차를 선호하는 반면, 북미와 러시아는 대형 승용차 선호

경차(1,000cc이하)에 대한 유럽 선호도가 높고, 최대수출대상국은 영국

- 영국(11.6%)·네델란드(9.9%)·멕시코(9.8%)의 順

소형차 1,500cc이하 경유차는 터키 수출비중이 21.2%로 가장 높고, 1,000-1,500cc 휘발유차의 최대수출대상국은 사우디(10.7%)

☞중·대형급 휘발유차는 미국수출이 최대, 대형급 경유차는 러시아가 최대

- 1,500-2,500cc 최대수출대상국은 독일(12.6%), 1,500-3,000cc급 최대수출대상국은 미국(31.9%)
- 2,500cc초과용량 최대수출대상국은 러시아가 (52.6%)이며, 3,000cc초과 대형급은 대미 수출이 48.7% 1위

[수입 대상국]

☞올해 프랑스産 경·소형차 비중 급증, 중·대형은 독일産이 최다

경차 (1,000cc이하)는 프랑스産 비중이 34.7%로 전체의 1/3 차지

- 프랑스(34.7%)·중국(31.1%)·대만(12.5%)의 順

소형차 1,500cc이하 경유차는 프랑스産 비중이 70.8%로 가장 높고, 1,000-1,500cc 휘발유차의 독일産이 전체수입의 약 1/2 차지

중대형 승용차는 대부분 독일産이며, 모든 용량별 비중에서 과반수 이상

- 중대형 승용차 수입에서 독일産이 차지하는 비중은 1,500-2,500cc급 (70.8%), 1,500-3,000cc급(49.7%), 2,500cc초과(59.3%), 3,000cc초과(62.7%)

☞독일産을 제외한 중대형은 미국·일본·영국産 제품 인기

- 1,500-2,500cc급 미국産이 2위(8.2%), 1,500-3,000cc급 일본産 2위(22.4%), 2,500cc초과는 미국産 2위(21.1%), 3,000cc초과는 일본産 2위(15.6%)

▶시사점

올해 국내 수입차의 대당평균가격과 국산차의 해외 수출가격간의 격차는 전년대비 16%p 완화되었음

국산차 대비 수입 외제차의 대당가격수준은 전년도 243%에서 금년도 227% 수준으로 약 16%p 감소하였음

전년도에 비해서 대형차 수출은 감소세로 접어든 반면, 중형차 수출은 소폭 상승세를 나타냄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이달의 신차 구매혜택

더보기


레이싱 모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