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일반뉴스

서울의 대표적 맛집거리 소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 파전골목

경희대 파전골목 대표이미지
경희대 앞에는 파전에 막걸리를 파는 집들이 몰려 있어 예전 대학가의 낭만을 되살려주고 있다.
지하철 1호선 회기역에서 1번 출구로 나와 경희대 방향으로 조금만 가다보면 좁은 길에 다닥다닥 붙어 있는 파전집 간판들이 보인다.

거리 자체가 사람 마음을 푸근하게 해준다. 파전집 안 분위기도 1980년대를 떠올리게 한다. 1970~80년대 젊은이들의 추억이 가득한 곳에서 요즘 젊은이들 또한 예전에 그랬듯이 파전을 먹고 막걸리와 동동주를 마시고 고민하며 추억을 만들고 있다.

그들의 식탁에 놓인 안주는 예나 지금이나 파전이다. 해물이 들어간 해물파전은 2㎝ 정도 두께에 지름도 30㎝는 족히 돼 보인다. 겉은 바삭하고 안은 부드러운 것이 씹는 맛과 재료의 맛을 고스란히 살리고 있다.

이런 전 종류 말고도 도토리묵, 곱창볶음, 순대볶음, 닭볶음탕, 오징어볶음, 두부김치, 제육볶음 등 다양한 먹을거리가 있다. 하지만 파전골목 인기 음식는 단연 해물파전이다. 단일 메뉴 말고도 집마다 다양한 조합의 세트메뉴를 만들어 놓고 있다.

경희대 파전골목에서 약 1.3㎞ 거리에는 홍릉수목원과 홍릉근린공원이 있어 파전을 맛있게 먹은 다음 둘러보는 것도 좋다. 홍릉수목원은 우리나라 최초의 수목원이다.

경희대 파전골목 풍경1경희대 파전골목 풍경2

  • 경희대 파전골목 풍경3경희대 파전거리의 파전 이미지
  •       맛있는 TIP

    • 파전은 기름에 지지는 음식이라 느끼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기름을 걸러내면 아주 바삭하기 때문에 식감이 아주 좋다. 그래도 좀 느끼하다면 함께 나오는 깍두기나 양파간장에 있는 양파와 함께 먹는 것이 좋다. 느끼한 걸 싫어하는 사람은 매콤한 고추전이 어울린다.

      more info

      동대문구청 02-2127-5000

    맛집수

    8

    고향왕파전
     (02-960-3060)

    나그네파전
     (02-964-4415)

    낙서파전
     (02-968-6019)

    노천파전
     (02-968-2494)

    버드나무집파전
     (02-968-8149)

    온달파전
     (02-959-8999)

    이모네파전
     (02-959-8318)

    학사파전
     (02-962-0669)

    찾아가는 길

    승용차

    세종로사거리→이문로→회기역

    대중교통(지하철)

    서울지하철 1호선 회기역 1번 출구→경희대학교 방면→GS편의점→경희대 파전골목(도보 5분 거리)

    주변관광지

    서울풍물시장

    서울풍물시장(Seoul Folk Flea Market)은 관광산업과 연계한 우리나라 최고의 풍물시장을 목표로 청계천과 인접한 청계8가에 자리 잡고 있다. 세계적인 풍물시장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새로운 쇼핑명소로 각광 받고 있다.

    홍릉수목원

    홍릉수목원은 1922년 서울 홍릉에 임업시험장이 설립되면서 조성된 우리나라 최초의 제1세대 수목원이다. 매주 일요일마다 일반인에게 무료로 개방된다. 가족과 함께 산책하기에 아주 좋다.


    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동 족발골목
    공덕동 족발골목 대표 이미지
    지하철 5, 6호선 공덕역 4, 5번 출구로 나와 한겨레신문사 방향으로 가다보면 길 왼쪽에 족발골목이 나온다. 예전에는 이곳이 재래시장이었지만 지금은 족발집들이 모여 있다.

            족발골목의 역사는 지금부터 약 30여 년 전에 시작됐다. 당시 공덕시장 한쪽에 2평 남짓 되는 식당  을 차려 놓고 족발을 팔았던 집이 공덕동 족발골목의 효시다.


    그때는 순대국과 함께 족발을 팔았다. 식당이 잘 되자 주변 상가들이 업종을 바꾸었고 재래시장의 면모를 잃긴 했지만 족발골목은 번성했다. 이 골목 족발집이 인기를 얻는 이유는 푸짐한 양과 특별한 서비스 음식이다.

    족발을 시키면 뜨끈한 술국과 순대 한 접시가 공짜로 나온다. 족발의 양도 많아서 큰 것을 시키면 4명이 먹기에도 충분하다. 뜨끈한 국물은 리필이 되므로 국물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좋다. 그렇다고 양으로만 승부하는 것은 아니다. 맛있는 족발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

    집집마다 맛을 내는 비법은 다 다르지만 어떤 집은 12가지 한방 및 천연 재료를 넣어 족발의 맛을 완성한다. 사람이 몰릴 때는 기다렸다가 입장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30년이 훌쩍 넘은 세월 동안 맥을 잇고 있는 공덕동 족발골목은 현재와 과거가 공존하는 추억의 장소이다.

    공덕동 족발골목은 현재와 과거가 공존하는 추억의 장소이다.

    • 공덕동 족발골목 풍경1공덕동 족발골목 풍경2

    • 공덕동 족발골목 풍경3공덕동 족발골목 족발 이미지


    • 맛있는 TIP
    • 푸짐한 양과 인심 좋은 서비스로 인기가 높다. 족발을 시키면 뜨끈한 술국과 순대 한 접시가 공짜로 나오니 무턱대고 시켰다가는 다 먹지 못 하는 수가 생긴다. 뜨끈한 국물은 리필이 되므로 마음껏 먹어도 된다.

      more info

      마포구청 02-3153-8114

    맛집수

    4

    마포유가궁중족발
     (02-718-7087)

    마포소문난원조족발
     (02-716-9731)

    오향족발
     (02-715-7719)

    한방족발
     (02-706-2126)

    찾아가는 길

    승용차

    서울시청→서소문→마포 방면→공덕역→공덕동 족발골목

    대중교통(지하철)

    서울지하철 5, 6호선공덕역 4, 5번 출구→공덕시장 방면→공덕동 족발골목(도보 5분 거리)

    주변관광지

    망원장터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9호로 망원동의 동명이 유래된 망원정은 양화나루 서쪽에 있었는데 태종의 아들이며 세종의 형인 효령대군의 별장으로 1424년에 건립되었다. 희우정은 강변과 가깝게 있는 누각 형식의 건물로 둘레에 난간이 둘러져 있다.

    용강동 정구중 가옥

    좁은 터에 안채, 행랑채, 별당을 따로 만든 한옥 살림집이며 1920년대 이후 개량한옥으로서 보기 드문 집이다. 대문을 들어서면 다시 대문채가 있고 안쪽에 있는 대문을 들어서야 안채가 나온다. 오밀조밀한 전통 한옥구조의 맛을 보여주고 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광장시장 전골목
    광장시장 전골목 대표 이미지
    일제강점기 일본의 여러 정책 가운데 하나가 서울의 시장 상권을 장악하는 일이었다. 그에 맞서 뜻있는 몇 사람이 모여 토지와 현금을 출현하면서 세운 곳이 광장시장이다.

    그때가 1905년이었다. 광장시장은 서민들의 상권을 앗아가려는 일본에 맞서 세운 우리나라 최초의 상설시장이다. 당시에는 농수산물이 주로 거래되었으나 지금은 농수산물은 물론 한복과 일반 의류, 침구, 수예, 주방용품 등 없는 게 없다.

    광장시장은 그 거대한 규모에도 놀라지만 시장 안 여러 먹거리 골목을 보고 또 한 번 놀라게 된다. 골목길 양쪽 옆으로 전을 파는 식당들이 있지만 길 가운데는 포장마차식으로 만든 점포들이 줄을 지어 늘어서 있다.

    동남아 국가를 여행하다 보면 길거리 음식을 자주 접하게 되는데 광장시장 먹거리 골목은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길거리 뷔페라고 할 수 있다. 광장시장 골목에는 다양한 음식을 파는 집들이 자연스럽게 구역을 이루고 있다. 

    빈대떡, 전을 파는 식당과 포장마차 구역이 있고 칼국수와 만둣국을 파는 곳, 양푼이비빔밥을 파는 곳, 순대에 머리고기, 돼지껍데기를 파는 곳, 회를 파는 곳, 죽을 파는 곳, 잔치국수와 떡볶이를 파는 곳 등이 어깨를 맞대고 골목마다 줄을 지어 서있다.

    최근에는 광장시장 전골목이 외국에도 소문이 나면서 외국인들이 많이 찾고 있다.


    광장시장 전골목 풍경1광장시장 전골목 풍경2

  • 광장시장 전골목 풍경3광장시장 전골목 빈대떡 이미지

    • 맛있는 TIP
    • 기름에 튀긴 것처럼 부쳐낸 빈대떡은 느끼할 것 같지만 상에 나올 때는 기름이 어느 정도 빠져 있어 바삭하기까지하다. 또한 고기를 갈아서 얇게 부쳐낸 고기전도 빼놓을 수 없는 이곳의 별미다.

      more info

      종로구청 02-731-1835 URL tour.jongno.go.kr (맛길몰목>맛길골목)

    맛집수

    5

    광장멧돌집
     (02-2274-0866)

    명희네빈대떡
     (02-2266-1721)

    박가네빈대떡
     (02-2264-0847)

    순희네빈대떡
     (02-2268-3344)

    홍천집
     (02-2267-6669)

    찾아가는 길

    승용차

    종각→종로3가→종로5가→광장시장→광장시장 전골목

    대중교통(지하철)

    서울지하철 1호선 종로5가역 7번 출구→광장시장 입구→광장시장 전골목(도보 5분 거리)

    주변관광지

    서울탑골공원

    사적 제354호로 서울 최초의 근대 공원이다. 조선세조 13년에 원각사로 건립하였던 것을 고종 34년인 897년 도지부 고문인 영국인 브라운에 의해 공원으로 조성되어 1920년에 공원으로 개원되었다.

    종묘

    종묘는 조선왕조 역대 왕과 왕비 및 추존된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유교사당으로서 가장 정제되고 장엄한 건축물 중의 하나이다. 경내에는 종묘정전을 비롯하여 별묘인 영녕전과 전사청, 재실, 향대청 및 공신당, 칠사당 등의 건물이 있다.


    서울특별시 서초구 교대 곱창거리
    교대 곱창거리 대표 이미지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교대역 14번 출구 부근에 양곱창거리가 있다. ‘거북곱창’과 ‘교대곱창’ 등이 그 거리의 주인공이다. 원조인 거북곱창은 1984년 문을 열었다.

    저녁 5~6시가 되면 이 거리에는 양곱창 굽는 냄새가 퍼진다. 곱창 굽는 냄새와 함께 식탁에 펼쳐진 음식만 봐도 입안에 침이 고인다. 날씨가 좋으면 테라스 식탁에 앉아 먹을 수도 있다.

    냄새와 분위기가 곱창거리임을 알려주는 교대 곱창거리는 학생과 직장인 등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모여들어 북적댄다. 석유 드럼통을 잘라 만든 것 같은 식탁들은 옛 분위기를 자아낸다. 분위기가 무르익는 시간이면 이 거리의 곱창집은 앉을 자리 없이 꽉 들어찬다.

    자리에 앉자마자 식탁에는 소금, 된장, 양념장 등의 장류와 마늘쫑, 양파, 당근 등이 기본찬이 올라온다. 양곱창은 양파와 부추 등을 넣어 함께 볶아 먹는데 곱창구이를 먹고나면 철판에 밥을 볶아 먹을 수 있다. 밥을 볶을 때는 양을 넣어 볶아 먹는 ‘양밥’이 인기다.


    • 교대 곱창거리 풍경1교대 곱창거리 풍경2

    • 교대 곱창거리 풍경3교대 곱창 이미지


    • 맛있는 TIP
    • 교대 곱창거리에서는 국내산 대창과 막창만을 사용하기 때문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 또한 주인장의 넉넉한 인심만큼 양이 많다. 매일 담근 싱싱한 부추김치가 손님상에 나오는데 곱창과 함께 먹으면 곱창의 졸깃함과 부추의 아삭함이 입안으로 그대로 전해진다.

      more info

      서초구청 02-2155-6114 URL www.visitseoul.net (맛집>해치의 맛있는 이야기)

    맛집수

    4

    거북곱창
     (02-586-0032)

    교대곱창 1호점
     (02-3474-9167)

    교대곱창 2호점
     (02-3474-9167)

    교대명가
     (02-521-9166)

    찾아가는 길

    승용차

    남산3호터널→반포대교→서초법원→교대역→교대사거리→교대 곱창골목

    대중교통(지하철)

    서울지하철 2, 3호선 교대역 14번 출구→교대사거리 방면→교대 곱창거리(도보 5분 거리)

    주변관광지

    청계산

    청계산은 가족이나 연인과 함께 산행하기 좋으며 등산로가 다양하다. 과천 쪽에서 바라보는 청계산은 산세가 부드럽지만 서울대공원 쪽에서 보이는 망경대(618.2m)는 바위로 둘러싸여 있어 거칠고 당당하게 보인다.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한가람미술관은 예술의전당 전면 왼쪽 날개에 위치하며 조형예술공간으로서의 기능에 충실한 미술관이다. 1990년에 개관된 미술관은 대형그림도 자유로이 전시할 수 있는 전시실을 비롯한 수장고, 아트숍등을 갖추고 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낙원동 아구찜골목
    낙원동 아구찜골목 대표 이미지
    낙원동 아구찜골목은 1970년대 초에 생기기 시작했다.
    당시 서울에서 아귀로 만드는 음식은 아귀탕뿐이었고 아귀찜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었다. 마산 등 해안가 도시에서는 아귀찜을 해먹었지만 그 음식이 서울까지는 알려지지 않았다.(아귀가 표준말이지만 흔히 아구로 표현한다.)

    그때 낙원동에 ‘양지집’이라는 집에서는 매일 인천에서 아귀를 사다 아귀찜요리를 했다. 새로운 음식이 서울 한복판에 등장했다는 소문에 사람들이 모여들었고 아구찜골목의 집앞에는 줄을 서서 기다리는 사람들로 넘쳐났다.

    그러다 경기가 안 좋아지자 1980년대 후반에 들어와서는 1년 사이에 열 집 정도가 문을 닫게 되었다. 한 해에 열 집 정도가 문을 닫는 일이 벌어져도 지금까지 아구찜골목의 맥이 이어져오고 있는 이유는 그 맛이 사람들에게 확실하게 각인되었기 때문이다.

     아귀찜으로 시작한 메뉴에 해물찜이 더해졌다. 다양한 해물을 맛보고 싶은 사람들은 해물찜을 선호하고 졸깃하고 고소한 맛을 좋아하는 사람은 아귀찜을 찾았다.

    해물찜에는 오징어, 주꾸미, 관자살, 조갯살, 홍합문어, 게 등 다양한 종류의 해물이 들어간다. 녹말성분이 들어가서 찐득한 물이 배어나오는데 해산물의 향과 양념이 어우러져 요리를 다 먹고 밥을 비벼 먹기에도 좋다.

    낙원동 아구찜골목 풍경1낙원동 아구찜골목 풍경2

  • 낙원동 아구찜골목 풍경3낙원동 아귀찜 이미지

    • 맛있는 TIP
    • 낙원동의 아귀찜은 먹은 뒤에도 입안에는 감칠맛과 매콤한 맛이 남아 있어 한 번 맛을 보면 계속 먹게 된다. 중독성이 강한 음식이다. 또한 매운 아귀찜은 스트레스 해소에도 좋다. 콩나물은 아삭함이 그대로 살아 있어 아귀와 같이 먹으면 씹는 맛이 일품이다.

      more info

      종로구청 02-731-1835 URL tour.jongno.go.kr (맛길골목)

    맛집수

    7

    낙원아구찜
     (02-741-3621)

    마산아구찜
     (02-763-7494)

    마산아구와해물
     (02-765-1338)

    마산해물아구찜2호점
     (02-765-4942)

    마산아구찜종로본점
     (02-765-3621)

    마산도원아구
     (02-765-4009)

    원조마산아구
     (02-763-7086)

    찾아가는 길

    승용차

    광화문→안국동사거리 방면→안국동사거리→안국역→삼일상가→낙원동 아구찜골목

    대중교통(지하철)

    서울지하철 3호선 안국역 4번 출구, 종로3가역 5번 출구→낙원악기상가→낙원동 아구찜골목(도보 15분 거리)

    주변관광지

    인사동

    인사동은 한국인의 삶과 문화의 흔적이 고스란히 배어 있는 거리 박물관이다. 조선시대에는 도화원이 있어 미술활동의 중심지였으며 지금은 골동품 상점과 화랑, 필방, 전통 공예품, 전통차 음식점 등이 들어서면서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 중심지가 되었다.

    창덕궁

    창덕궁은 태종이 즉위하여 한양천도 문제가 거론되면서 태종 4년 왕명에 의해 공사가 시작되었다. 창덕궁은 고종이 경복궁으로 거처를 옮기기까지 왕실의 정궁으로 사용되었으며 조선조 왕들이 가장 길게 상주한 궁궐이다.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 갈치골목
    남대문 갈치골목 대표 이미지
    남대문시장 안에는 갈치조림 음식점들이 골목을 이룬 곳이 있다.
    숭례문 앞 숭례문수입상가 아치를 통과해서 쭉 걸어가다가 오른쪽에 있는 골목길로 따라 들어가면 갈치골목이 나온다. 바로 그 골목이 남대문 갈치골목으로 역사가 40년이나 된다.

    남대문 갈치골목에서는 처음부터 갈치조림을 대표메뉴로 내세운 것은 아니었다. 칼국수와 만두 등을 팔다가 주요메뉴를 생선요리로 바꿨다. 갈치조림과 함께 고등어조림, 동태조림 등을 내놓았지만 손님들은 유독 갈치조림을 좋아했다.

    시장 사람들은 물론이고 인근에 있는 회사원들도 찾아올 정도로 갈치조림은 맛있었다. 이미 소문난 남대문 갈치골목이 방송을 통해 소개된 뒤부터는 손님이 구름처럼 몰려들었다.

    게다가 해외까지 알려져 일본인 관광객들도 많이 찾는다. 이러다보니 갈치를 조리는 냄비는 1년에 한 두 번은 갈아야 한다. 갈치조림에 들어가는 재료는 무와 파, 마늘, 고춧가루 등이다. 맛의 차이는 양념의 맛과 조림국물에 있다.

    어떤 집은 쌀뜨물로 국물을 한다. 주재료인 갈치는 부산, 여수, 목포, 제주산 갈치를 쓴다. 어떤 집은 여수 갈치를 주로 쓰고 어떤 집은 제주 갈치를 선호하는 등 갈치를 공수해오는 지역도 다르다.

    • 남대문 갈치골목 풍경1남대문 갈치골목 풍경2

    • 남대문 갈치골목 풍경2남대문 갈치 이미지


    • 맛있는 TIP
    • 부드러운 갈치살과 칼칼하고 감칠맛 나는 국물에 밥 한 공기 먹는 것은 순식간이다. 양념이 가득 밴 말랑말랑한 무와 함께 먹는 것도 맛있다. 양념에 비빈 밥 위에 가시를 발라낸 갈치살을 얹어 먹는 맛도 일품이다.

      more info

      중구청 02-3396-4114

    맛집수

    9

    내고향갈치
     (02-752-7954)

    넝쿨식당
     (02-777-6218)

    동해식당
     (02-773-2497)

    전주식당
     (02-756-4126)

    중앙식당
     (02-752-2892)

    왕성식당
     (02-752-9476)

    우리식당
     (02-752-5153)

    호남식당
     (02-775-5033)

    희락
     (02-755-3449)

    찾아가는 길

    승용차

    남산3호터널→회현사거리→숭례문5거리→남대문시장→남대문 갈치골목

    대중교통(지하철)

    서울지하철 4호선 회현역 5번 출구→남대문시장→남대문 갈치골목(도보 5분 거리)

    주변관광지

    남산케이블카

    남산케이블카에서는 수도 서울의 복판에 솟아오른 남산의 아름다운 풍광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40여 년이 넘는 세월동안 국민들의 사랑을 듬뿍 받아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관광시설이라 할 수 있다.

    남산골한옥마을

    1998년 4월 18일 개관한 남산골한옥마을은 전통한옥 5동을 비롯하여 전통공예전시관, 천우각 광장동, 전통정원, 타임캡슐광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라져가는 우리의 전통을 되새겨보고 선조들의 삶을 엿볼 수 있는 멋진 공간이다.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 칼국수골목
    남대문 칼국수골목 대표 이미지
    서울은 물론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시장이 남대문시장이다.

    오래 전부터 내국인은 물론 다양한 국적을 가진 외국인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다. 언제 찾아가도 북적거리고 활력이 넘친다. 남대문시장 6번 출입구를 알리는 아치를 통과해 조금 가다 보면 왼쪽으로 칼국수골목이 나온다.

    골목 양쪽으로 점포가 있고 가운데는 사람들이 지나다닐 수 있게 해놓았다. 남대문 칼국수골목에서 파는 음식은 칼국수, 수제비, 잔치국수, 열무냉면, 찰밥, 보리비빔밥, 냉면 등이다. 점포마다 요리하는 좁은 공간과 긴 식탁이 있고 그 앞에는 의자가 있다.

    좁은 골목으로 다니는 사람도 많고 앉아서 먹는 사람도 많다. 불편하게 앉아 먹는 음식이지만 시장 분위기 때문인지 음식은 더 맛있다.

    인기메뉴는 칼국수로 굵은 면발에 구수한 육수 맛이 좋다. 하지만 칼국수를 시켰다고 칼국수만 먹는 게 아니다. 칼국수를 시키면 냉면이 맛보기로 나온다. 

    냉면을 시키면 칼국수가 맛보기로 나오고 보리비빔밥을 시키면 냉면이나 칼국수 맛도 보라고 주인아줌마가 또 챙겨 준다. 어떤 음식을 시켜도 또 다른 한 가지 음식 맛을 볼 수 있는 것이 남대문 칼국수골목의 특징이다.

    재래시장 먹자골목에서 통하는 정을 느끼게 해준다. 재래시장의 왁자지껄한 분위기를 제대로 느끼며 정감 있는 장바닥 음식을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남대문 칼국수골목 풍경1남대문 칼국수골목 풍경2

  • 남대문 칼국수골목 풍경3남대문 칼국수 이미지

    • 맛있는 TIP
    • 남대문 칼국수골목의 칼국수는 뭐니뭐니해도 쫄깃한 수타면이 매력이다. 여기다 시원하고 진한 육수가 더해져 맛의 깊이를 더해준다. 육수는 멸치, 양파. 파 외 여러 가지 채소를 넣어 끓여 낸다. 칼국수가 나오면 먼저 국물을 맛보도록 한다.

      more info

      중구청 02-3396-4114 URL www.visitseoul.net (맛집>해치의 맛있는 이야기)

    맛집수

    6

    거제식당
     (02-778-8171)

    남촌식당
     (02-776-4741)

    남해식당
     (02-310-7245)

    민속식당
     (02-752-9113)

    서울식당
     (02-779-6514)

    형제분식
     (02-773-2848)

    찾아가는 길

    승용차

    남산3호터널→회현사거리→숭례문5거리→남대문시장→남대문 칼국수골목

    대중교통(지하철)

    서울지하철 4호선 회현역 5번 출구→남대문시장→남대문 칼국수골목(도보 5분 거리)

    주변관광지

    배제학당 역사박물관

    1885년 미국인 선교사 아펜 젤러가 세운 한국 최초의 서양식 근대교육기관이다. 초기부터 영어수업을 비롯한 전인교육을 실천하였고 초대대통령 이승만과 김소월, 주시경, 나도향 등 수많은 근대 지식인을 배출한 신교육의 발상지이다.

    남대문시장

    남대문시장은 외국인에게 쇼핑관광명소로 필수 방문코스다. 각종 섬유제품과 일용잡화, 주방용품, 민속공예와 토산품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모든 상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어 세계 속의 관광명소로 자리 잡고 있다.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 주물럭ㆍ돼지갈비거리
    마포 주물럭ㆍ돼지갈비거리 대표이미지
    마포대교 북단 지하철 5호선 마포역과 공덕역 부근에는 유난히 고기집이 많다.

    이곳에 고기집이 밀집한 연유는 옛날에 마포나루터가 있었기 때문이다. 마포나루는 옛날부터 한강의 큰 나루터로서 새우젓 등 젓갈류와 소금, 곡식류의 집결지였으며 맛 좋은 젓갈을 찍어 먹는 고기맛이 좋다고 널리 알려진 곳이었다. 젓갈을 보관하는 옹기를 구워 만들던 마을도 생겼다.

    이 마을이 마포 주물럭˙돼지갈비거리가 있는 용강동이다. 마포대교가 생기면서 자연스럽게 나루는 없어졌다. 나루터 주변의 상권은 문을 닫고 주택과 사무실이 들어서게 되면서 옛 모습은 사라졌다.

    하지만 그 거리에 있던 몇몇 음식점들이 활성화되면서 마포 고기골목의 효시가 되었다. 현재 이 거리에는 주물럭과 돼지갈비, 목살과 항정살 등을 파는 고기집들이 모여 있어 저녁이 되면 고기 굽는 냄새가 진동한다.

      이 골목의 대표메뉴는 주물럭과 돼지갈비다. 쇠고기에 양념을 입혀 주물럭거린다 해서 주물럭이라는 이름을 얻었는데 함께 나오는 버섯 등과 먹는다.

    돼지갈비는 갖은 양념을 해서 달콤한 맛이 배어나는 게 입맛을 돋운다. 숯불로 굽기 때문에 숯향이 은은하게 배어 있다. 마포구는 매년 이 거리에서 음식문화축제를 열고 있다.


    • 마포 주물럭ㆍ돼지갈비거리 풍경1마포 주물럭ㆍ돼지갈비거리 풍경2

    • 마포 주물럭ㆍ돼지갈비거리 풍경3마포 주물럭 이미지


    • 맛있는 TIP
    • 주물럭이라는 이름은 쇠고기에 양념을 입혀 주물럭거린다고 해서 주물럭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이 골목의 대표메뉴인 돼지갈비는 뒷맛이 담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숯불로 갈비를 굽기 때문에 입안에서는 은은한 숯향의 여운을 느낄 수 있다.

      more info

      마포구청 02-3153-8114 URL www.visitseoul.net (맛집>해치의 맛있는 이야기) 관련축제음식문화축제(10월)

    맛집수

    남촌집
     (02-715-9090)

    마포왕갈비
     (02-716-8001)

    마포원조주물럭
     (02-718-3001)

    석양집
     (02-716-6847)

    우림집
     (02-712-4650)

    이도집
     (02-717-0002)

    정원갈비
     (02-703-4193)

    조박집
     (02-712-7462)

    태순집
     (02-717-8906)

    찾아가는 길

    승용차

    서울시청→서소문→마포 방면→마포역→마포 주물럭˙돼지갈비거리

    대중교통(지하철)

    서울지하철 5호선 마포역 1번 출구→마포 주물럭˙돼지갈비거리(도보 2분 거리)

    주변관광지

    공민왕 사당

    조선 초 어떤 동네 노인의 꿈에 공민왕이 나타나 ‘이곳에 사당을 짓고 매년 제사를 지내준다면 모든 일들이 순조롭게 풀려질 것’이라며 계시를 주었는데 이 자리에 와보니 공민왕 부부를 그린 영정이 바위 밑 함에서 나와 그 뜻에 따라 신당을 지었다.

    서울 양화나루와 잠두봉 유적

    한국 천주교의 성지인 잠두봉과 주변에 있었던 양화나루터를 가리킨다. 1966년 천주교에서 잠두봉을 중심으로 성당과 기념관을 세웠고 주변 지역을 공원으로 꾸몄다.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각지 대구탕골목
    삼각지 대구탕골목 대표 이미지
    30년이 넘는 세월 삼각지에 대구탕 끓는 냄새가 이어지고 있다.

    해장국 중 으뜸으로 꼽히는 대구탕이 삼각지에 처음 자리 잡게 된 것은 1979년도다. 그때부터 지금까지 삼각지 주변에는 네 곳의 대구탕집이 우애 좋은 형제처럼 영업을 이어오고 있다.

    대구탕골목이 유명해진 것은 군인들 덕이다. 삼각지 주변에는 육군본부 등이 있어 군인들이 많았는데 그들이 주요단골이었다. 그들은 전국에서 모여드는 군인 동료들에게 시원한 대구탕 맛을 보이게 했는데 그 맛이 전국으로 소문이 났다.

    또한 전출과 파견근무 등이 많은 군인의 특성상 외지에 갔다가 오랜만에 돌아오는 군인들은 부대에 복귀하기 전 삼각지 대구탕 한 그릇을 먼저 먹고 부대에 들어갔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지하철 6호선 삼각지역 14번 출구로 나오면 우리은행이 나오고 그 뒷골목에 ‘원대구탕’과 ‘자원대구탕’이 있다.

    이 식당들이 오래된 집들로 세월이 지나도 맛은 언제나 한결같다. 대구탕은 대구 자체에서 시원하고 깊은 맛이 우러나기 때문에 별다른 육수를 쓰지 않는데 한때는 동태로 육수를 만들었던 적도 있었다.

    이 골목에는 콩나물과 미나리 등을 넣고 얼큰하게 끓여 내는 대구탕과 함께 맑은 국물로 나오는 대구탕도 있다. 입맛에 따라 몸 상태에 따라 선택해서 먹는 맛도 즐겁다.

    • 삼각지 대구탕골목 풍경1삼각지 대구탕골목 풍경2

    • 삼각지 대구탕골목 풍경3삼각지 대구탕 이미지


    • 맛있는 TIP
    • 혹시 전날 과음해서 속이 별로 좋지 않다면 삼각지 대구탕을 추천한다. 삼각지 대구탕은 전날 숙취도 싹 가시게 할만큼 얼큰하고 담백한 맛을 자랑한다. 얼큰하게 끓여 내는 대구탕과 함께 맑은 국물로 나오는 대구지리도 있으니 입맛에 따라 먹으면 된다.

      more info

      용산구청 02-2199-6114

    맛집수

    세창대구탕
     (02-792-8556)

    원대구탕
     (02-797-4488)

    자원대구탕
     (02-793-5900)

    찾아가는 길

    승용차

    서울역 방면→남영역→용산전쟁기념→삼각지역→삼각지 대구탕골목

    대중교통(지하철)

    서울지하철 4, 6호선 삼각지역 1, 14번 출구→우리은행 방면→삼각지 대구탕골목(도보 3분 거리)

    주변관광지

    전쟁기념관

    전쟁기념관은 전쟁의 참극을 겪지 않도록 그 교훈을 영원히 후대에 전하기 위해 1994년에 개관된 세계적인 기념관이다. 전쟁 기록과 유물 1,000여 점이 옥내 전시관에 그리고 전략폭격기 등이 옥외에 전시되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에는 22만점의 유물이 소장되고 있다. 박물관 건물 서관에는 문화시설을 배치하여 문화의 향취를 느낄 수 있도록 했으며 건물 동관에는 ‘명품 100선’을 중심으로 새롭게 구성된 유물들을 전시해 보다 친근하게 만날 수 있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생선구이골목
    생선구이골목 대표 이미지
    생선구이골목 주변에는 평화시장과 동대문시장, 동대문 쇼핑타운 등 빌딩들이 밀집해 있다.

    예전부터 지금까지 이 곳에서 장사를 하는 많은 사람들과 이곳을 오가는 사람들의 허기진 배를 달래 주던 음식 중의 하나가 생선구이였다. 점심식사 전부터 손님 맞을 준비를 하는 식당들은 생선을 굽는데 그 냄새가 고소하다.

    골목 밖까지 퍼지는 생선 굽는 냄새에 이끌려 발길이 저절로 움직인다. 취급하는 생선도 아주 다양해 입맛에 맞게 생선구이를 선택해 먹을 수 있다.

    특이한 점은 굴비, 고등어, 삼치, 꽁치 등 다양한 생선을 연탄불에 구워 내온다는 것이다. 연탄불을 이용해 적당한 화력으로 은근히 구워 내면 기름기가 적절하게 빠져 고소한 맛을 더해준다.

    반찬과 국 한 그릇이 나오는 것은 일반 백반상과 같다. 생선에는 동맥경화와 고혈압 등에 도움이 되는 성분은 물론 DHA 성분이 있어 기억력 등 두뇌발달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졌다. 이밖에 노화방지와 치매예방에도 좋다고 한다.

    생선구이백반으로 배를 채웠다면 볼거리가 많은 동대문 주위를 둘러보는 것도 좋다. 일단 청계천으로 나가 산책을 즐기면서 몸에 밴 생선구이 냄새를 없앤다. 그리고 난 뒤 쇼핑타운을 찾는다. 쇼핑천국인 동대문에서의 쇼핑은 언제나 즐거운 일이다.
    • 생선구이골목 풍경1생선구이골목 풍경2

    • 생선구이골목 풍경3생선구이 이미지

         맛있는 TIP

    • 하루 정도 숙성된 생선들은 먼저 초벌구이로 기름을 쏙 뺀 다음 대기 상태로 손님 맞을 준비를 한다. 주문이 들어오면 마저 구워 손님 테이블로 나가는데 이때 생선구이의 맛이 결정된다. 연탄 화덕에서 생선을 굽기 때문에 그 맛이 특별하다.

      more info

      종로구청 02-731-1835 URL tour.jongno.go.kr (맛길몰목>맛길골목)

    맛집수

    나주집
     (02-2267-6838)

    오부자식당
     (02-2273-6466)

    의정부집
     (02-2274-6825)

    이천식당
     (02-2275-3802)

    전주식당
     (02-2267-6897)

    호남집
     (02-2279-0996)

    찾아가는 길

    승용차

    종각→동대문쇼핑상가 방면→생선구이골목

    대중교통(지하철)

    서울지하철 1, 4호선 동대문역 9번 출구→기업은행 방면→생선구이골목(도보 5분 거리)

    주변관광지

    대학로

    대학로는 종로4가에서 혜화동로터리에 이르는 거리로 지역의 특색을 간직한 서울 공연문화의 중심지다. 김수근 건축으로 상징되는 아르코미술관을 포함한 100여 개의 크고 작은 극장들이 매일 다채로운 공연을 무대에 올리고 있다.

    서울흥인지문(동대문)

    흥인문은 수도 서울의 동쪽 관문으로 조선의 태조 이성계가 수도를 방위하기 위하여 도성을 축성할 때 함께 건설된 문이다. 태조 5년(1396)에 건설되어 수차에 걸쳐 수축과 개축되었으나 그 원형만은 현재까지 보전되어 보물 제1호로 지정되었다.

    <한국관광공사 제공>

    9곳
    9곳
    9곳
    ※ 본 정보는 현지 사정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으니 전화 문의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이달의 신차 구매혜택

    더보기


    레이싱 모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