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해 서울에서 가장 교통량이 많았던 도시고속도로는 ‘강변북로’와 ‘올림픽대로’이며 교통정체가 심한 곳은 ‘서부간선도로’, ‘경부고속도로(서울구간)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이같은 지난 일 년 동안의 도시고속도로 교통상황을 분석한 ‘도시고속도로 2013년 운영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도시고속도로의 교통량은 2012년에 비해 일평균 128만5천대로 5천대가 늘어나 소폭 증가(0.4%)하였고, 통행속도는 0.8km/h 감소하여 평균 57.8Km/h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별로 하루 평균 교통량은 강변북로(27만대) > 올림픽대로(25만대) > 경부고속도로(21만대) 순으로 많았고, 상대적으로 북부간선도로(11만대)와 서부간선도로(11만대)는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통행속도는 ▴내부순환로 ▴북부간선도로 ▴분당수서로가 평균 60km/h 이상을 유지해 비교적 원활했다. 반면, ▴서부간선도로는 평균 36km/h ▴경부고속도로는 45.9km/h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월별 차량속도는 8월, 9월이 낮게 나타났고, 1월, 3월은 비교적 높았다. 8, 9월의 통행속도는 1, 3월에 비하여 5~10km/h 정도 낮았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시고속도로 중 평일 교통량이 가장 많은 구간은 ▴강변북로의 ‘동작→ 반포’ 구간으로 이 구간에는 하루 148천대의 차량이 오갔으며, 서울 서북부 지역과 일산·파주 등 시 외곽에서 강남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도로별로 평일 교통량이 가장 많은 구간은 ▴동부간선도로 성수JC →성동JC(142천대/일), ▴올림픽대로동작 → 한강(139천대/일), ▴경부고속도로 서초IC → 양재IC(125천대/일), ▴내부순환로 정릉 →국민대(95천대/일), ▴북부간선도로 신내IC → 묵동IC(71천대/일)였다.
하루 중 퇴근시간대인 18~19시가 대부분 도로에서 가장 정체가 심했으나, 북부간선도로(동향)와 동부간선도로(남향)는 출근시간대인 07~08시가 가장 혼잡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정체시간대 통행속도는 30~45km/h 수준으로 활동시간대 평균 통행속도 46~64km/h 보다 16~19km/h 정도 낮았으며, 서부간선도로는 통행속도가 20km/h대로 가장 낮았다.
도로 구간별로는 통행속도가 30km/h 이하로 상습정체가 발생하는 곳은 ▴올림픽대로 한남→반포, 여의상류→한강대교, ▴강변북로 원효대교→서강대교, 난지IC→동작대교, ▴경부고속도로 잠원IC→반포IC, 양재IC→서초IC, ▴서부간선도로 고척교↔성산대교였다.
또한 ▴내부순환로 홍제→홍지문, ▴북부간선도로 묵동IC→신내IC, ▴동부간선도로 상계교→녹천교 구간도 상습정체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부고속도로 ‘잠원IC→반포IC’ 구간은 평일 07시~19시에 구간속도가 20km/h 전후로 12시간 동안 지속되고, ▴서부간선도로 ‘신정교→목동교’ 구간도 10시~20시까지 20km/h 이하로 떨어져 정체가 가장 심한 구간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