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경제의 견인차인 자동차산업이 하반기에 더욱 위축되면서 수출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올 하반기의 자동차 수출은 글로벌 자동차 수요가 둔화되는 가운데 업체간 경쟁 심화, 프랑스 등 일부 유럽 국가와 신흥국의 보호주의 강화 등 대내외 여건이 더욱 악화되면서 더욱 불투명한 상황으로 전망됐다.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글로벌 자동차 산업 수요는 3,870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할 것으로 전망해 올해 상반기 산업수요 성장율인 7.2%에 비해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EU 지역의 자동차 산업 수요는 전년 동기 대비 -0.7%로 전망해 산업수요가 오히려 감소할 것으로 전망햇다. 또한, 한국 자동차의 하반기 수출은 168만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지난 상반기 170만대를 기록하며 꾸준히 증가했던 자동차 수출도 감소세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가운데 도요타, 혼다 등 지난 해 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부품 공급 차질에 따른 불가피한 생산 감소로 판매가 급감한 일본 자동차 업체들이 본격 회복되면서 경쟁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도요타는 올해 2분기 매출이 지난해보다 60% 늘어난 5조 5,015억엔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도 3,530억엔을 기록해 흑자로 전환했다. 뿐만 아니라 도요타는 올해 글로벌 생산 목표도 1,005만대로 상향 조정했다. 지난 7월 미국 자동차 판매 역시 도요타는 전년 동기 대비 23.9% 증가한 실적을 올렸으며, 혼다 역시 46.4% 증가한 실적을 기록했다. 반면, 지난 해 5월 사상 처음으로 미국시장에서 10% 시장점유율을 돌파했던 현대기아차는 시장점유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해 지난 7월에는 전년 동기 대비 0.4%P 하락한 9.5%를 기록햇다. 이와 함께, EU는 한국 자동차의 대 EU 수출 ‘우선 감시’ 조치를 취해달라는 프랑스의 요청에 대해 검토에 착수함에 따라 유럽 지역의 자동차 수출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브라질 정부 역시 브라질로 수입되는 자동차에 대해 공업세를 30% 올리기로 함에 따라 국내 자동차 업체의 브라질 수출도 급감한 상황이다. 하기 휴가 이후 자동차 및 부품산업의 파업도 예정되어 있어 자동차 생산 차질로 인한 수출 감소도 전체 수출의 감소 폭을 더욱 확대시켜 경기 침체를 심화시킬 우려가 큰 것으로 전망됐다. 자동차 산업의 이러한 불투명한 전망은 지난 7월 자동차의 수출 부진에서 이미 나타나고 있다. 최근 지식경제부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 7월 우리나라의 전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8.8% 감소하며 33개월 만에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올해 들어 수출은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임. 지난 7월 수출은 반도체(-1.2%), 무선통신기기(-34.7%), 선박(-57.5%), 석유화학(-22.3%) 등 주력 상품 대부분이 전년동기 대비 감소했다. 이는 유럽 재정위기의 여파로 한-EU FTA의 체결에도 불구하고 對EU 수출이 크게 감소 했고, 유로존의 위기가 점차 글로벌 시장으로 확산되면서 수출 비중이 가장 큰 중국에도 영향을 미치며 對중국 수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유럽자동차공업협회(ACEA)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유럽 자동차 산업수요는 689만 6천대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6.3% 감소했다.(EU+EFTA 기준) 특히, 유럽시장에서 두 번째로 시장 규모가 큰 프랑스는 전년 동기 대비 14.4%가 감소했고, 네 번째로 시장 규모가 큰 이탈리아는 19.7% 감소했으며, 유럽발 재정위기의 중심에 있는 그리스와 포르투갈은 40% 이상 산업수요가 감소햇다. 향후 한국경제의 성장동력 회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동차가 분발해야 하는 상황이다. 특히, 경제전문가들은 한국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자동차 산업의 안정적인 생산이 전제되어야 하며, 국내 자동차 업체들이 자동차 판매라는 본연의 업무에 매진하고, 지속적인 설비 투자 및 고용 창출을 할 수 있도록 제반 여건을 모색해야 한다는 데 입을 모으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