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기아, 폭스바겐그룹코리아, 스텔란티스코리아,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가 제작 또는 수입·판매한 9개 차종 5만4천412대에서 제작 결함이 발견돼 제작·판매사가 자발적 시정조치(리콜)한다고 7일 밝혔다. <리콜 대상 기아 레이>기아 레이·셀토스·스포티지·스포티지 하이브리드(HEV)·니로·K8 등 6개 차종 4만8천25대는 계기판 소프트웨어 설정 오류로 계기판 화면이 표시되지 않아 안전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확인돼 오는 13일부터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리콜 대상 폭스바겐 ID.4 82kWh>폭스바겐 ID.4 82kWh 4천815대는 차문 걸쇠장치 내 이물질이 제대로 차단되지 않아 차문 제어 회로기판으로 수분이 유입돼 정차 또는 시속 15㎞ 미만 속도에서 차문이 열릴 가능성이 확인돼 이날부터 시정조치가 시작된다. <리콜 대상 지프 그랜드 체로키>스텔란티스 지프 그랜드 체로키 1천479대는 인터미디어트 샤프트(조향 휠과 조향 기어를 연결하는 중간축) 조립 불량으로 연결 부위가 분리돼 조향이 불가능해지고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됐다. 시정조치는 12일부터다. <리콜 대상 레인저 와일드트랙>포드 레인저 와일드트랙
토요타코리아는 5일 서울옥션 강남센터에서 토요타를 대표하는 플래그십 모델 크라운(CROWN)을 공식 출시했다. 토요타 크라운은 지난 2월 ‘먼저 가치를 보는 당신’이라는 새로운 브랜드 슬로건을 발표한 이후 한국 고객들에게 다양한 전동화 차량의 선택지를 제공하겠다는 토요타 코리아의 의지를 담은 두 번째 전동화 모델이다. 왕관을 뜻하는 단어에서 이름을 딴 크라운은 지난 1955년 토요타 최초의 양산형 승용차로 출시된 이래 토요타 브랜드 라인업 중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모델로 토요타의 ‘혁신’과 ‘도전’을 상징한다. ‘새로운 시대를 위한 크라운’을 목표로 16세대로 진화한 크라운은 전통적 세단에 대한 정의의 재해석과 고객들의 다양한 니즈를 반영하여 크로스오버, 세단, 스포츠 및 에스테이트 등 총 4가지의 타입으로 공개되었으며, 전세계 40여개에 달하는 국가에서 크로스오버 크라운부터 순차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한국 시장에서 새롭게 출시되는 16세대 크라운은 ‘젊고’, ‘미래 지향적’인 스타일의 크로스오버 타입으로 연비 효율성을 극대화한 2.5리터 하이브리드(HEV)와 다이내믹한 드라이빙을 느껴 볼 수 있는 토요타 최초의 2.4리터 듀얼 부스트 하이브리드 총 2가지
자동차 업계의 탈탄소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가운데 대표적 친환경차인 하이브리드차의 국내 등록 대수가 지난달 경유차를 처음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에서 총 14만9천541대의 신차가 등록된 가운데 사용 연료별 등록 대수는 휘발유차 7만4천768대, 하이브리드차 2만7천863대, 경유차 2만6천898대, 전기차 1만3천785대, LPG차 5천153대 순이었다. 사용 연료별 등록 비율로 보면 휘발유차 50.0%, 하이브리드차 18.6%, 경유차 18.0%, 전기차 9.2%, LPG차 3.4%였다. 하이브리드차가 등록 대수와 등록 비율에서 경유차를 제친 것은 지난달이 처음이다. 내연기관차와 전기차 사이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하이브리드차는 자동차 업계의 친환경 흐름을 타고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국내에서는 2009년 국산 첫 하이브리드차인 '아반떼 LPI 하이브리드' 출시 이후 2010년대 후반부터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2016년 6만2천대에 불과했던 국내 하이브리드차 등록 대수는 2017년 8만4천대, 2018년 9만3천대, 2019년 10만4천대, 2020년 17만3천대, 2021년 18만6천대
2035년부터 내연기관 신차 판매를 전면 금지하기로 한 유럽에서 전기차 판매량이 경유(디젤)차를 앞질렀다. 4일 유럽자동차공업협회(ACEA)에 따르면 올 1∼4월 유럽 30개국 전기차 판매량은 55만9천733대로, 같은 기간 경유차 판매량(55만391대)을 1만대 가까이 웃돌며 처음으로 우위를 점했다.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전기차는 40만9천971대에서 36.5% 뛰어오른 반면, 경유차는 55만3천29대에서 0.5% 감소했다. 전기차는 올 1∼4월 유럽 최대 시장인 독일에서 전년 대비 17.6% 증가한 12만4천476대가 팔려 최다 판매량을 기록했다. 이어 영국에서 전년보다 25.5% 증가한 9만6천752대, 프랑스에서 45.9% 늘어난 8만1천972대가 각각 팔렸다. 디젤 엔진의 본산인 유럽 시장에서는 2010년대까지도 경유차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 휘발유 대비 저렴한 연료비와 높은 연비 효율, 엔진 성능 등이 경유차의 강점이었다. 불과 4년 전인 2019년 유럽 내 경유차 판매 대수는 479만8천390대로 전기차(36만164대)의 13배에 달할 만큼 압도적 우위를 보였다. 그러나 유럽 각국이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자동차 관련 환경 규제를 강화하고
현대차·기아가 지난 5월, 자동차 판매를 시작한 지 61년 만에 1억5천만대 판매고지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현대차·기아의 판매실적을 합산한 결과, 두 기업은 자동차 판매를 시작한 1962년 이후 지난달까지 국내를 포함한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총 1억5천44만8천94대를 팔았다. 현대차와 기아의 누적 판매량은 각각 9천452만대, 5천593만대다. 두 기업이 자동차를 팔기 시작한 지 61년 만에 누적 판매 1억5천만대를 돌파한 것이다. 기아와 현대차는 각각 1962년과 1968년 내수시장에서 판매를 개시했다. 수출은 기아가 1975년, 현대차는 1976년에 시작했다. 현대차·기아 판매량은 1983년 100만대에서 1993년 1천만대로 늘었고, 2008년과 2016년 각각 5천만대, 1억대를 돌파했다. 여기에 이어 7년 만에 5천만대를 추가한 셈이다. 2000년 연간 243만대를 판매해 글로벌 '톱10'에 처음 진입한 현대차·기아는 2014년, 2015년 2년 연속으로 연간 800만대 이상을 팔아 '톱5'에 들었다. 또 지난해에는 685만대의 판매량으로 일본 토요타그룹(1천48만대), 독일 폭스바겐그룹(848만대)에 이어 처음으로 글로벌 '톱3'에 올
경기 고양시 킨텍스는 국내 최대 자동차 애프터마켓 전시회인 '2023 오토살롱위크'를 오는 9월 8∼10일 제2전시장에서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올해 오토살롱위크는 자동차 관련 애프터마켓 트렌드를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행사로, 서비스(정비·세차), 케어, 부품, 튜닝, 전장 용품, 액세서리 분야 제품과 튜닝카, 럭셔리카, 클래식카 등 개인의 개성과 니즈에 맞는 차량이 전시될 예정이다.참가 기업 중에서 필트레이션 분야를 선도하는 독일기업 만앤휴멜이 주목할 만하다. 만앤휴멜 그룹은 1941년 설립이래 전 세계적으로 순정부품 공급과 환경 분야 해결책 개발 등 지속 가능한 사회 구현을 실천하는 기업으로, 자동차 애프터마켓 브랜드 '윅스'와 함께 수입 차종과 국내 차종에 적용되는 고품질 에어, 오일, 연료, 에어컨 등 다양한 필터류를 선보일 예정이다. 와이어링 하네스 핵심 소재인 전선, 커넥터, 릴레이 등을 생산하는 전장부품 전문기업 ㈜유라도 만나볼 수 있다. 유라는 전장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모듈, 전기차 고전압 시스템 부품 및 충전에 관련된 다양한 친환경 차량용 부품을 개발, 공급하는 기업으로 자동차 애프터마켓 시장에서의 수요가 점차 높아지고 있어
국내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찾는 1천만원 초·중반대 중고차는 국산차는 현대 아반떼와 수입차는 미니 컨트리맨인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중고차 거래 플랫폼 KB차차차가 1천만원 이상 1천500만원 미만의 중고차를 대상으로 지난해 5월부터 올해 4월까지 매물 조회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국산차 조회수 1위는 현대차 아반떼였다. 이어 기아 레이, 현대 스타렉스, 르노코리아 SM6, 현대 쏘나타 등이 뒤를 이었다. 아반떼는 현대차의 베스트셀링카로 연비가 좋고 유지 관리에 부담이 없어 1천만원 초·중반대 중고차 중에서 남녀 모두에게 인기가 가장 높았다. 같은 가격대에서 수입차 조회수 1위는 미니 컨트리맨이었으며 폭스바겐 티구안, 벤츠 C클래스, 혼다 어코드, 아우디 A5 순이었다. 1천500만원 이상 2천만원 미만 국산차 조회수 1위는 기아 카니발이 차지했고 기아 K7, 현대 투싼, 현대 제네시스, 기아 K3가 뒤를 이었다. 카니발은 대가족이 타기에 충분한 실내 공간과 캠핑 등 레저 활동에 특화된 차량으로 40대의 조회수가 압도적이었다. 같은 가격대의 수입차 조회수는 BMW 5시리즈가 1위였으며 BMW 3시리즈, 벤츠 E클래스, 아우디 A6, BMW 1시리즈 순
GM 한국사업장이 5월 한 달 동안 총 40,019대(완성차 기준)를 판매하며 전년 동월 대비 154.9% 증가했다. 이로써 11달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상승세를 이어갔다(캐딜락 실적 제외). GM 한국사업장의 5월 해외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172.7% 증가한 총 35,261대를 기록, 14달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성장세를 이어갔다. 특히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뷰익 앙코르 GX 포함)는 5월 한 달 동안 총 20,244대가 해외 시장에 판매되며 전년 동월 대비 212.8% 증가세를 기록,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다시 한번 확인했다.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는 차급을 뛰어넘는 상품성과 뛰어난 가격 대비 성능을 바탕으로 지난 4월, 3개월 연속 국내 자동차 수출 1위 달성과 동시에 누적 수출 50만 대를 돌파한 바 있다. 특히, 미국 시장조사기관 제이디파워의 PIN에 따르면 트레일블레이저는 4월, 가장 큰 판매 시장인 미국에서 소형 SUV 부문 소매 판매 점유율 1위를 달성하며 치열한 소형 SUV 시장에서의 지속적인 수요와 압도적인 존재감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 역시 5월 한 달간 글로벌 시장에서 15,017대 판매되며 해외 판매
KG모빌리티는 지난 5월 내수 4,809대, 수출 5,051대를 포함 총 9,860대를 판매 했다고 1일 밝혔다. 이러한 실적은 토레스 수출 물량 증가 등 수출이 상승세를 이끌며 전년 동월 대비 19.1%, 누계 대비 38.3% 증가한 것이다. 내수는 소비심리 위축 등 영향으로 전월 대비 감소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 12.5%, 누계 대비 40.8% 증가한 상승세를 이었다. KG 모빌리티는 내수 판매 물량 증가를 위해 지난 달 실내 디자인과 상품성 등을 큰 폭으로 개선한 렉스턴 뉴 아레나와 렉스턴 스포츠&칸 쿨멘을 선보인 바 있다. 1일부터는 소형 SUV NO.1 브랜드 티볼리에 모던함과 강인한 스타일을 더하고 상품성을 업그레이드 한 더 뉴 티볼리를 출시하며 시장공략에 나섰다. 특히 수출은 토레스가 벨기에와 헝가리 등으로의 판매가 늘며 1,432대가 선적되는 등 상승세를 이끈 가운데 지난해 10월(5,336대) 이후 7개월 만에 5천대 판매를 돌파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 26.1%, 누계 대비로도 34.7% 증가했다. KG 모빌리티는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수출 물량 증가를 위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SNAM사와의 K
구분 2023년 2022년 전년동월대비 2023년 전월대비 2023년 2022년 연간누계대비 5월 5월 4월 1-5월 1-5월 국내 50,275 45,577 10.3% 49,086 2.4% 241,101 216,899 11.2% 해외 217,772 188,994 15.2% 209,747 3.8% 1,053,015 942,219 11.8% 특수 국내 89 86 3.5% 228 -61.0% 593 523 13.4% 해외 457 72 534.7% 336 36.0% 1,532 365 319.7% 계 546 158 245.6% 564 -3.2% 2,125 888 139.3% 계 268,593 234,729 14.4% 259,397 3.5% 1,296,241 1,160,006 11.7% 기아는 2023년 5월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5만 275대, 해외 21만 7,772대, 특수 546대 등 전년 동기 대비 14.4% 증가한 26만 8,593대를 판매했다. (도매 판매 기준)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는 10.3% 증가, 해외는 15.2% 증가한 수치다. (특수 판매 제외)차종별 실적은 스포티지가 4만 5,959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됐으며 셀토스가
현대자동차가 2023년 5월 국내 6만 8,680대, 해외 28만 514대 등 전 세계 시장에서 전년 동월 대비 7.8% 증가한 총 34만 9,194대를 판매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 판매는 8.4% 증가, 해외 판매는 7.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구 분 2023년 2022년 전년동월대비 2023년 전월대비 2023년 2022년 전년누계대비 5월 5월 4월 1-5월 1-5월 국내 68,680 63,373 8.4% 66,660 3.0% 326,387 274,886 18.7% 해외 280,514 260,460 7.7% 268,197 4.6% 1,379,491 1,261,514 9.4% 계 349,194 323,833 7.8% 334,857 4.3% 1,705,878 1,536,400 11.0% ■ 국내판매현대차는 2023년 5월 국내 시장에서 전년 동월 대비 8.4% 증가한 6만 8,680대를 판매했다.세단은 그랜저 1만 1,581대, 아이오닉 6 1,117대, 쏘나타 2,630대, 아반떼 6,599대 등 총 2만 1,927대가 팔렸다.RV는 팰리세이드 3,553대, 싼타페 2,557대, 아이오닉 5 2,396대, 투싼 4,241대, 코나 2,
수입 중고차 판매 부진으로 연일 하락하던 시세가 저점을 지나 6월 보합세로 전환될 전망이다. 이 시기 금리 하락과 유가 안정화가 맞물려 수입 중고차 판매는 모처럼 반등이 예상된다. 직영중고차 플랫폼 기업 K Car(케이카)가 국내 중고차 시장에서 유통되는 출시 12년 이내 740여개 모델을 대상으로 평균 시세를 분석한 결과, 수입 중고차의 6월 시세 하락률은 0.3%로 전월 1.1% 대비 0.8%p 하락폭이 줄어들 전망이다. 반면 국산 중고차의 6월 시세 하락률은 0.4%로 전월 0.6% 대비 0.2%p 하락폭이 둔화되며 약보합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국산차·수입차 전월 대비 하락률] 구분 6월 증감 5월 증감 전월 대비 증감比 국산 -0.4% -0.6% ↑0.2%p 수입 -0.3% -1.1% ↑0.8%p 수입차 대표 브랜드인 메르세데스 벤츠의 경우, 휘발유차 위주로 시세가 하락할 전망이다. ‘E-클래스 W213’, ‘C-클래스 W205’는 각각 2.2%, 2%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이브리드 인기가 높은 일본 차량들도 소폭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표적 하이브리드 모델들인 렉서스 ‘RX450hl 4세대’, ‘ES300h 7세대’는 각각 1.2%, 0.
르노코리아자동차가 QM6 퀘스트 구매 시 최대 300만원 상당의 혜택을 제공하는 6월 판매 조건을 선보였다. 6월에 QM6, SM6, XM3 등 르노코리아 주요 차량을 할부 구매하는 고객은 마음대로할부 선택 시 10만원대 월불입금으로 차량 구매가 가능하다. 마음대로할부는 최대 24개월 6.7% 이율로 월 상환 부담 없이 매월 이자만 납입하고 원금상환은 고객이 원하는 시기에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상품이다. QM6는 60개월 4.7% 특별 할부 상품, SM6와 XM3는 36개월 3.3% 저금리 할부 상품도 선택할 수 있다. 그 밖에 모델에 따라 할부원금 제한 없이 60개월 및 72개월 장기 할부 상품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국 영업 전시장의 특별 프로모션 대상 QM6 구매 시 40만원, QM6 퀘스트는 최대 90만원의 추가 할인을 받을 수 있다. XM3와 SM6 특별 프로모션 대상 차량 혜택은 20만원이다. 소상공인 고객을 위한 20만원의 추가 혜택도 계속된다. 가정의 달 맞이 재구매 고객 가족 범위 확대 혜택도 한 달 더 연장된다. 재구매 혜택은 본래 고객 본인과 배우자에게만 혜택이 제공되었으나, 이번 확대 적용으로 부모, 배우자의 부모, 자녀, 자녀의
현대자동차가 상품성을 대폭 개선한 ‘2024 팰리세이드’를 2일 출시했다고 밝혔다.2024 팰리세이드는 높은 상품성과 가격 경쟁력을 갖춘 스페셜 트림 ‘르블랑’을 추가하고 트림별로 안전 및 편의 사양을 기본화한 것이 특징이다.이번에 새롭게 추가된 스페셜 트림 르블랑은 ▲스마트 파워 테일게이트 ▲20인치 휠 ▲미쉐린 타이어 ▲12.3인치 대화면 클러스터 ▲1열 전동시트 ▲천연가죽 시트 ▲스마트폰 무선충전 ▲후측방 충돌 경고(주행)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전진 출차) ▲후방 교차 충돌방지 보조 ▲서라운드 뷰 모니터 ▲후측방 모니터 등 다양한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다. 또한 그레이와 블랙 색상의 조화가 돋보이는 새로운 내장 색상 ‘쿨 그레이’가 추가돼 고급스럽고 세련된 이미지를 더했다.현대차는 2024 팰리세이드에 주요 안전 및 편의 사양을 트림별로 기본화해 상품 경쟁력을 강화했다.엔트리 트림인 익스클루시브는 ▲2열 세이프티 파워 윈도우 ▲오토디포그 ▲레인센서 ▲자외선 차단 유리 등이 기본 적용됐다. 인기 트림인 프레스티지는 ▲퀼팅 나파가죽 시트 ▲운전석 에르고 모션 시트 ▲1열 릴렉션 컴포트 시트 ▲2열 수동식 도어커튼 ▲스웨이드 내장재(헤드라이닝/필라)
현대모비스의 글로벌 전동화 전용 거점인 인도네시아 공장이 내년 상반기 양산을 목표로 착공에 들어갔다. 현대모비스는 아세안 시장의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는 인도네시아를 교두보 삼아 셀-배터리시스템-완성차로 이어지는 전동화 생태계의 한 축을 선도하겠다는 방침이다. 현대모비스는 현지시간 31일 수도 자카르타 외곽 자와바랏 주(州) 브카시 시(市)에 위치한 공장 부지에서 배터리 시스템 공장 착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착공식에는 모하마드 리드완 카밀 주지사, 이상덕 주 인도네시아 대한민국 대사, 현대모비스 전동화BU 오흥섭 전무 등 정부와 업계 관계자, 현지 언론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인도네시아 배터리 시스템 공장은 아세안 시장을 겨냥한 현대모비스의 글로벌 전동화 전용거점이다. 현지 정부는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전기차 주도권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아세안 권역의 전기차 구매력 또한 급상승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배터리셀 합작회사(HLI 그린파워)로부터 배터리셀을 공급받아, 제어기와 열관리 장치 등을 모듈화해 대형 배터리 시스템 형태로 완성차에 공급하게 된다. 현대모비스가 전기차 생태계의 중간 허리 역할을 수행하는 셈이다. 현대모비
벤틀리모터스가 세 번째 현대적인 코치빌트 모델, ‘바투르 컨버터블)’의 실물 차량을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바투르 컨버터블은 지구상 단 16대만 한정 생산되는 모델로, 벤틀리의 비스포크 전담 부서 뮬리너가 바칼라, 바투르에 이어 세 번째로 선보이는 현대적인 한정판 뮬리너 코치빌트 모델이다. 높은 희소성과 소장가치를 지닌 바투르 컨버터블은 벤틀리의 상징적인 6.0L W12 트윈터보 엔진을 마지막으로 탑재한 모델 중 하나로, 최고출력 750마력(PS), 최대토크 102.0kg.m의 경이로운 성능을 발휘한다. 16대의 바투르 컨버터블은 모두 콜렉터의 비전과 개성을 반영해 무한한 비스포크 옵션을 제공한다. 이번에 두바이에서 공개된 바투르 컨버터블 엔지니어링 프로토타입 차량의 외관은 뮬리너 비스포크 스튜디오가 지닌 가능성의 미학을 또 한 번 증명하는 사례다. 미드나잇 에메랄드 외장 컬러와 고광택 카본 파이버 마감으로 구현된 역동적인 컬러의 전환과 고성능 소재들의 조화는 바투르 컨버터블에 생명력을 불어넣는다. 새틴 다크 티타늄 마감이 적용된 전면 그릴의 매트릭스 패턴에는 글로스 만다린에서 글로스 벨루가로 변화하는 그라데이션 효과가 더해져 시각적
LS전선이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이후, 한국 기업 중 최초로 미국에서 대규모 공장 건설에 착수한다. LS전선은 자회사 LS그린링크가 버지니아주 체사피크시에 미국 최대 규모의 해저케이블 제조 공장을 착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총 6억 8,100만 달러(한화 약 1조 원) 규모로, 트럼프 행정부 2기 이후 한국 기업의 첫 대형 현지 투자 사례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LS전선은 이번 투자를 통해 미국의 공급망 자립 전략에 선제 대응하고, 글로벌 에너지 인프라 전환을 이끄는 교두보를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미국 내 해저케이블 생산 인프라가 극히 제한적인 만큼, 현지 조달 확대와 공급망 안정성 측면에서 전략적 의미가 크다. 공장은 엘리자베스강 유역 39만 6,700㎡(약 12만 평) 부지에 들어서며, 연면적은 약 7만㎡(약 2만 평) 규모다. 2027년 3분기 완공, 2028년 1분기 양산 시작을 목표로 하며, 향후 글로벌 수요에 따라 설비 확장도 계획하고 있다. 생산 설비에는 201m 높이의 VCV 타워와 전용 항만시설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HVDC(고압직류) 해저케이블의 생산부터 운송, 공급까지 원스톱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인
LS마린솔루션은 대만 해상풍력단지에서 1,580만 달러(약 227억 원) 규모의 해저케이블 매설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LS마린솔루션이 해외 전력망 사업에서 수주한 첫 사례이자, 국내 해저케이블 시공업체 최초의 해외 진출 사례로서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대만전력청(TPC)이 294.5MW 규모로 추진하는 ‘TPC 해상풍력 2단지’ 사업으로, 대만 정부가 2020~2025년까지 총 5.6G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 조성을 목표로 추진 중인 1단계 계획의 핵심 사업이다. 대만 정부는 2035년까지 총 20.6GW의 해상풍력 발전 용량 확보를 목표로 장기 로드맵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수주를 통해 LS마린솔루션은 향후 2, 3단계에서 약 2조 5천억 원 규모로 예상되는 해저 시공 시장 선점의 기반을 마련했다. 특히 LS전선이 대만 해상풍력 1단계에서 약 1조 원 규모의 초고압 해저케이블을 사실상 단독 공급해 온 만큼, 이번 LS마린솔루션의 시공 진출로 제조와 시공을 아우르는 시너지 효과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병옥 LS마린솔루션 대표는 “국내 1세대 해저케이블 시공 기업으로서 축적한 기
메르세데스-벤츠 공식 딜러 한성자동차는 내달 23일까지 공식 채용 홈페이지에서 2025년 서비스센터 신입직원 대규모 공개 채용을 실시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채용은 서비스센터 AS 부문 ▲일반정비 ▲서비스 어드바이저 ▲판금 직무에서 인재를 모집한다. 최종 합격자는 약 한 달간 직무 기초 교육을 이수한 뒤, 서울, 수원, 인천, 분당, 대전 중 본인 희망 지역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근무지에 배치된다. 입사 후 진행되는 직무기초 교육은 자동차 정비에 대한 기본 이론부터 고객 서비스 마인드, 브랜드 이해, 실습 중심의 기술 교육까지 포함된다. 교육은 전문 트레이너와 현직 선배들의 멘토링이 병행되며, 신입사원의 원활한 현장 적응과 역량 강화를 적극 지원한다. 지원 자격은 자동차 관련 학과 졸업자 또는 2026년 상반기 졸업 예정자이며, 정비 관련 자격증 소지자, 국가보훈대상자 등은 우대된다. 지원 접수는 한성자동차 채용 홈페이지 또는 채용 플랫폼을 통해 진행한다.
만트럭버스코리아가 노후 경유 트럭을 폐차하고 신차로 만트럭을 구매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최대 1천만 원의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조기 폐차 지원 캠페인’을 진행한다. 오는 6월 30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캠페인은 쾌적한 대기환경 조성을 위한 정부 정책에 부응하는 한편, 고객의 합리적인 차량 교체를 지원하기 위해 기획됐다. 지원 대상은 만트럭 전 차종으로, 차종에 따라 ▲뉴 MAN TGX 및 뉴 MAN TGS 구매 시 최대 1천만 원, ▲뉴 MAN TGM 및 뉴 MAN TGL 구매 시 최대 5백만 원의 할인 혜택이 적용된다. 해당 혜택은 유로6E 배출가스 기준을 충족하는 신형 D26 엔진 탑재 차량을 포함한 뉴 MAN TG 시리즈 전 라인업에 해당된다. 이와 함께 만트럭이 연중 운영하고 있는 재구매 할인 프로그램도 중복 적용 가능해, 기존 만트럭 고객의 경우 추가로 200만 원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은 실질적인 비용 절감과 함께 최신 안전·편의 기술이 적용된 프리미엄 트럭으로의 교체 기회를 누릴 수 있다. 만트럭버스코리아 피터 안데르손 사장은 “이번 조기 폐차 지원 캠페인은 고객의 합리적인 차량 교체를 지원하는 동시에,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기아는 목포지점 서상배 선임 오토컨설턴트가 누계 판매 대수 4천대를 달성해 ‘그랜드 마스터’에 올랐다고 29일 밝혔다.서상배 선임 오토컨설턴트는 1992년 기아에 입사해 33년 동안 꾸준히 판매 일선에서 실적을 쌓으며 연평균 121대, 누계 4,001대를 판매해 34번째 그랜드 마스터의 영예를 안았다.기아는 서상배 선임 오토컨설턴트에게 상패와 포상 차량을 수여했다.서상배 선임 오토컨설턴트는 “매일 아침 새로운 고객과의 만남을 기대하는 마음으로 하루를 시작한다”며 “한결같이 저를 신뢰하고 재구매와 추천으로 성원해 준 고객들에게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푸조가 전용 멤버십 ‘라이온 하트’ 멤버를 대상으로 오는 5월 15일 첫 번째 공식 오너 초청 행사인 ‘308 국도 로드 트립’ 이벤트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국내에서 처음 개최되는 공식 오너 이벤트로서 푸조 오너 간 교류를 촉진은 물론, 브랜드 경험을 확대함으로써 브랜드와의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푸조는 라이온하트 첫 공식 행사 장소로, 과거 308번 지방도로 불리며 드라이빙 명소로 명성을 얻었던 남한산성 일대를 전략적으로 선정했다. 이는 308 스마트 하이브리드의 국내 출시를 기념하는 동시에, 브랜드를 대표하는 308 로드를 가장 먼저 고객들과 함께 달리며, 푸조 특유의 감각적인 드라이빙 경험과 브랜드 스토리를 직관적으로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푸조는 5월 한 달간 308 국도를 ‘308 로드(308 Road)’로 브랜딩하고, 푸조 고객은 물론 더 많은 이들이 일상 속에서 308과 푸조 브랜드를 자연스럽게 떠올릴 수 있도록 다양한 캠페인을 전개할 예정이다. 가장 먼저, 참가자들은 각자의 ‘반려푸조’를 타고 행사에 참석, 308 스마트 하이브리드의 혁신적 시스템을 알기 쉽게 소개하는 ‘스마트 하이브리드 토크쇼’와 현장 퀴즈
혼다코리아(대표이사 이지홍)가 지난 29일 대전 지역 모터사이클 신규 딜러로 국봉석 대표를 선정, 딜러 계약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혼다코리아는 지난해 9월 대전 및 전라남도 광주 지역을 대상으로 모터사이클 신규 딜러 모집을 진행했으며, 대전과 광주 지역에 모두 지원한 국봉석 대표를 올해 3월 광주 지역 신규 딜러로 선정한 바 있다. 이후 혼다코리아는 사업추진 과정에서 다양한 사업환경을 신중하게 재검토한 결과 양사 합의를 통해 광주 지역 딜러에서 대전 지역 딜러로 변경 선정하였다. 신규 대전 딜러는 이달부터 본격 사업 준비에 착수해 올해 7월 공식 오픈 예정이다.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딜러 중 최대 규모로 오픈을 준비 중이다. 모터사이클 전시 및 판매는 물론, 대전을 포함한 인근 지역 고객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