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오는 2016년까지 클린디젤 자동차의 부품 산업이 연간생산 5조원대의 핵심산업으로 육성된다고 24일 밝혔다. 지식경제부는 클린디젤 자동차의 핵심부품 산업을 키우기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마쳤다. 이에 따라 지경부는 내년부터 클린디젤 자동차의 동력발생 부품 외에 동력전달 부품, 차체 섀시ㆍ경량소재 부품, 전후(前後)처리ㆍ엔진부대 부품, 하이브리드 부품, 생산기반 등 6개 분야의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관련업체를 육성할 방침이다. 지경부는 또 전문 연구기관을 유치하는 등 연구기반을 구축하는 사업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지경부는 이들 사업을 통해 오는 2016년까지 전문기업 100곳을 육성해 클린디젤 자동차 부품 산업을 연간 생산규모 5조원, 수출 30억 달러 규모로 키우기로 했다. 이에 따른 신규 고용창출 효과는 5천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세계 5위의 자동차 생산국이지만 클린디젤 자동차의 핵심부품과 제어기술은 모두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우태희 지경부 주력산업국장은 "클린디젤 자동차는 가솔린 차량에 비해 열효율이 높지만,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5% 정도 적다"며 "전기나 연료전지 자동차의 상용화 전까지 배출가스 규제와 기후변화협약에 가장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그린카"라고 말했다. |